유방암 치료제 엔허투의 적응증 확대와 주요 유방암 치료제 소개/엔허투 혁신치료제 지정/유방암 치료제 소개

728x90
반응형

유방암 치료제 분야에서 엔허투(Enher2)는 최근 중요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의 협업으로 개발된 엔허투는 HER2 저발현과 초저발현 유방암 치료제로의 적응증 확대를 위한 심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엔허투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엔허투 외에도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3가지를 소개합니다.

유방암 치료제 엔허투의 적응증 확대와 주요 유방암 치료제 소개/엔허투 혁신치료제 지정/유방암 치료제 소개

엔허투의 적응증 확대

엔허투의 기본 정보

엔허투는 다이이찌산쿄가 발굴하고 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입니다. 이 약물은 HER2 표적 치료를 위한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체에 독성 약물을 결합하여 항암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심사 및 승인 동향

  • 유럽의약품청(EMA) 심사: 엔허투는 HER2 저발현 및 초저발현 유방암 치료제로 심사를 받고 있습니다. 다이이찌산쿄는 HER2 저발현 전이성 유방암 환자 치료를 위한 단독요법으로 엔허투의 승인 변경 신청을 접수했습니다.
  • 미국 FDA의 혁신 치료제 지정: 엔허투는 미국에서 혁신 치료제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는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환자들에게 적용됩니다.

임상 시험 결과

엔허투의 적응증 확대는 임상 3상 시험 'DESTINY-Breast06'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시험에서 엔허투는 다음과 같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 HER2 저발현 환자: 화학요법 대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38% 감소시켰습니다.
  • HER2 초저발현 환자: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22% 감소시켰습니다.

엔허투의 안전성은 이전 임상 시험과 일관되며, 새로운 안전성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적응증 결과 위험 감소 비율
HER2 저발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 38% 감소 38% 감소
HER2 초저발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 22% 감소 22% 감소

엔허투 외 유방암 치료제 3가지 소개

1. 트라스투주맙 (Herceptin)

  • 효능: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됩니다. HER2 단백질을 표적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 적응증: 전이성 HER2 양성 유방암, 조기 유방암.
  • 특징: 엔허투와 달리 단독 요법으로 사용되며, 종종 다른 항암제와 병용됩니다.

2. 파클리탁셀 (Taxol)

  • 효능: 세포 분열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멈추게 합니다.
  • 적응증: 유방암, 난소암, 폐암 등 다양한 암종에 사용됩니다.
  • 특징: 파클리탁셀은 유방암 치료에서 주로 화학요법의 일환으로 사용됩니다.

3. 카보잔티닙 (Cometriq)

  • 효능: 혈관 신생 억제 및 암세포의 성장 경로를 차단하여 유방암의 진행을 늦춥니다.
  • 적응증: 전이성 유방암, 특히 HER2 음성 환자.
  • 특징: 주로 진행된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치료제 효능 적응증
트라스투주맙 HER2 양성 암세포 표적 치료 전이성 및 조기 유방암
파클리탁셀 세포 분열 억제 유방암 및 기타 암종
카보잔티닙 혈관 신생 억제 및 성장 경로 차단 전이성 유방암

결론

엔허투는 최근 HER2 저발현 및 초저발현 유방암 치료제로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유럽과 미국에서의 심사와 혁신 치료제 지정을 통해 엔허투는 유방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트라스투주맙, 파클리탁셀, 카보잔티닙 등의 기존 치료제들은 여전히 유방암 치료의 중요한 옵션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제들은 각각의 특성과 효능에 따라 유방암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반응형